무주택 확인서 발급으로 연말정산 시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월세 소득공세를 받을 때 은행별로 요구하는 서류가 있거나 간단한 절차로 발급받는 등 차이가 있습니다.
무주택 확인서 발급 조건은 해당 은행에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가입해야 하고 무주택자로 인정받아야 발급이 가능합니다. 이후 각 은행에서 발급받아 청약이나 소득공제 등에 이용합니다.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을 은행별로 정리하고 각각 연말정산 시 공제한도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연말정산
가입 대상이 만 18세 이상의 거주자로 무주택 세대주로서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총급여액이 7천만 원 이하이며 1년 납입금액 240만 원을 한도로 하여 납입한 금액 중 40%를 연말정산시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우대형 주택종합저축의 경우 만 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의 청년 중 총급여액이 3천만 원 이하로 해당 저축에서 발생하는 이자소득의 합계액에 대해서는 500만 원까지 비과세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 연말정산
월세 연말정산시 세액공제의 경우 종합소득금액이 4500만 원 이하인 경우 월세액의 12%가 공제되고 총 급여액 7천만원 이하인 경우 월세액의 10%가 공제됩니다. 소득공제 한도는 750만원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월세의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위해서는 무주택 확인서 발급이 필수이므로 은행별 발급 방법을 확인해보겠습니다.
국민은행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
국민은행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은 국민은행 홈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으로 발급 가능합니다. 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상단 카테고리의 전체 서비스-특화 서비스-주택청약을 클릭합니다.
주택청약 화면에서 상단 오른쪽의 소득공제-소득공제대상 등록/해지를 클릭합니다. 국민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계좌번호를 확인하고 구분에 등록을 선택한 뒤 무주택 확인서를 확인하면 됩니다.
국민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오른쪽 상단의 전체 메뉴-청약/채권-등록-소득공제대상 등록/해지를 클릭하여 발급합니다.
신한은행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
신한은행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도 홈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으로 발급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홈페이지에서 개인-부가서비스-증명서 발급 서비스-연말정산/납입증명서를 클릭합니다.
신한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을 확인하고 발급 신청을 클릭하면 무주택 확인서 발급이 완료됩니다.
신한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주택청약종합저축 계좌 화면에서 오른쪽 아래 +버튼을 클릭하고 소득공제신청/해제에서 무주택 확인서에 동의하고 신청하면 발급됩니다.
하나은행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
하나은행 무주택확인서 발급 방법은 홈페이지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하나은행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한 뒤 하나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계좌를 확인하고 계좌관리를 클릭합니다.
소득세액공제 확인서에서 납입증명서 발급하기를 클릭하면 무주택 확인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하나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뱅킹-조회/이체-전 계좌조회에서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우측 더보기를 클릭하면 계좌관리-소득공제대상 등록/해제를 클릭하여 무주택 확인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농협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
농협 무주택확인서 발급 방법은 농협 홈페이지에서 조회-예금-예적금 조회를 클릭합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등록/해제를 클릭하고 계좌 선택을 클릭하여 본인 주택청약종합저축 계좌를 등록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후 주택청약 납입 확인서를 확인하고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프린트도 가능합니다.
농협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계좌관리-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등록을 클릭하고 공제 연도를 선택한 뒤 확인하면 발급 가능합니다.
각 은행별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이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주택청약종합저축 계좌만 있다면 온라인으로 쉽게 신청 가능하니 똑똑한 연말정산을 위해서 알아두시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지호수 재는법 5가지 실패없이 한번에 재는 방법 (0) | 2021.11.22 |
---|---|
운전면허 2종 보통 1종 변경 필수 조건 2가지 (0) | 2021.11.21 |
서울시 병원동행 서비스 신청 방법 (0) | 2021.11.18 |
온누리상품권 할인 구매 사용처 여기까지 된다 (0) | 2021.11.17 |
에코마일리지 카드 알뜰하게 사용하는 방법 (0) | 2021.11.15 |
댓글